기업의 마케팅 핵심이슈는 단연 “브랜드”다. 7, 80년대 우리나라 기업들은 브랜드의 진정한 가치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지금은 브랜드 경쟁력이 곧 사업의 성패로 이어지는 만큼 어떠한 마케팅 전략보다도 중요하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마케팅 부서와는 별도로 브랜드 관리조직을 두거나 확충하는 추세이며, 또한 인력시장에서 브랜드관리 전문가의 수요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대상그룹의 “미원”브랜드는 세계적인 환경이슈와 보조를 맞추어, MSG 화학 조미료의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청정원” 라는 자연 친화적인 깨끗한 이미지로 변신하였고, 더불어 기업의 브랜드 가치 극대화에도 성공을 거두었다. 글로벌 사업추진을 위해 럭키 금성이 LG로 이름을 바꾼 것 같이, 기업명이나 로고를 외국인이 보기에도 쉽고 친근감 있게 바꾸기도 한다. 두산은 “사람은 미래다”라는 TV를 광고를 통해 “사람을 중시하는 경영철학과 기업문화”를 가진 브랜드로 온 국민에게 각인 시켰고, 신입사원들이 선호하는 기업순위 상위에 랭크되는데 성공하였다. 아파트 또한 브랜드 인지도와 가치에 따라 미래의 아파트 판매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이렇듯 기업의 브랜드 전략은 그 기업이 추구하는 경영철학과 핵심가치를 반영하며, 변화하는 세계의 흐름과 기업의 마케팅 목표, 판매상품, 대상 고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브랜드 전략은 더 이상 기업이나 제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월드 스타 싸이는 강남스타일이라는 노래를 부르며 우스꽝스런 말춤을 추면서 독특하고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로 전세계를 열광하게 만들었고, 패리스 힐튼은 힐튼가의 상속녀라는 타이틀로 파티, 패션 아이콘으로 이미지를 어필해 비즈니스에 성공했다. 물론 부정적인 연상을 주는 이미지 메이킹으로 많은 이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고 있지만 나름대로 차별화된 전략에 성공했다고도 볼 수 있다. 브리트니 스피어스, 마이클잭슨, 마사 스튜어트, 잭월치 등 자신만의 차별화된 연상과 가치를 창출해 낸 이들 모두는 퍼스널 브랜드를 구축한 사람들이다.
퍼스널 브랜딩은 직업적인 성공의 지름길이다.
변화하는 시장에 빠르게 대응하는 차별화된 브랜드는 곧 당신의 가치를 의미한다. 퍼스널 브랜드는 특별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이성과 감성의 명확한 조합을 잘 파악하여 당신의 능력, 기술가치와 열정 등을 분석하고 이러한 속성을 이용하여 당신을 차별화 시키고 당신의 분야에서 이직이나 전직과 같이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활용할 수 있다. 즉, 무엇보다도 자신의 빛깔과 향기에 맞는 Career Goal에 맞추어 퍼스널 브랜드 전략 및 커리어전략을 세워야 한다.
이직과 전직시 퍼스널 브랜드 이미지의 전략은 중요하다. 국내 메이저 보험사에 지원한 30대 후반의 컨설턴트는 나이에 걸맞지 않은 흰머리와 어두운 표정이어서 그것이 불합격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상황이었으나 헤어 염색과 핑크빛 넥타이색으로 변화를 주어 젊고 혁신적인 이미지로 결국 경영혁신팀 부장으로 입사하는 데 성공하였다. 또한, 대기업 임원 지원자는 기본 스펙도 매우 중요한데, 지방대 출신이었지만 신뢰감 있고 세련된 이미지와 태도로 합격한 경우도 있으며, 경쟁자들과 비슷한 스펙에 다소 촌스럽고 떨어지는 외모지만 인터뷰시 자신감 있는 전문성 어필로 국내 굴지의 은행의 퀀트로 입사에 성공한 경우도 있다.
반대로 퍼스널 브랜드 이미지 어필에 실패하여 불합격된 사례들도 있는데, 그룹 오너 앞에서 지나치게 강하고 도전적인 태도를 보인 해외지사장 지원자의 경우나 전혀 준비하지 않은 외모와 불성실한 태도로 불합격한 건설사 해외사업관리 부장의 경우도 있다. 그 밖에 팔짱을 끼는 습관으로 태도가 건방져 보였다거나 Global대기업 언론홍보직 지원자인데 목소리 관리를 제대로 못해서 첫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어필하여 불합격한 사례 등도 있다.
퍼스널 브랜드 전략으로 Career 관리를 하는 데는 원칙이 있다.
우선 본인의 본질, 성격, 스타일, 문화 등 모든 것을 분석하여, 그 브랜드와 일치하는 분야의 직업과 직장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사업 다각화를 할 때와 마찬가지로 커리어 목표에 맞는 관련 분야의 다각화를 시도한다. 즉, 일관성있는 퍼스널 브랜드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헤드헌터를 Career Goal로 정한다면, 기업대상 마케팅 및 영업을 통한 영업력 강화, 기획업무 등을 통한 전략적인 사고 및 역량 강화, MBA 인사 전공을 통한 전문성 확보 등 관련 분야의 경력을 일관성 있게 쌓을 필요가 있다.
퍼스널 브랜딩은 결국 직업의 근본적 의미인 자아실현의 업그레이드 단계라고 볼 수 있다. 나 스스로의 정체성과 직업적 정체성을 총체적으로 그려 Career Goal을 착수하고, 그것을 하나 둘 꿰어가는 것이다. 경력 3년차, 7년차, 15년차 어느 누구도 지금 늦지 않았다. 지금 이 순간 성공적인 커리어를 위해 당신의 퍼스널 브랜드를 Jump Up 시켜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