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 성취력의 비밀을 밝혀 독자들에게 사랑받은 김주환의 《그릿》이 새로운 모습으로 출간되었다. 12년만에 세전면개정판으로 다시 만나는 《그릿》은 절판 이후 뇌과학에 기반한 저자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접목해 성취의 근간인 마음근력의 개념을 새로 정립했다. 2013년에 김주환 교수에 의해 처음으로 개념화된 《그릿》은 2011년 《회복탄력성》 출간 이후 좀 더 실천적이고 현실적인 도서를 고민하던 중, 시험을 앞둔 학생부터 치열한 경쟁 속에 사는 직장인까지, 목표한 바를 성취하는 것이 모두의 바람이라는 판단 하에 ‘성취력을 높이는 비법’을 담았다.
특히 치열한 입시 전쟁을 치르고 있는 청소년들과 아이를 무한경쟁 시스템으로 내몰고 있는 부모들에게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부모가 극성을 부릴수록 아이의 성적이 오를 거라 생각하는 건 큰 착각이며, 아이가 공부에 재미를 느끼고 스스로 학업에 몰입하는 건 성취력의 근원인 ‘그릿’을 갖추고 있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달렸다고 말한다.
이번 전면개정판에서 새롭게 정립한 그릿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G는 성장(Growing)으로, 현재 상태에서 자신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해내는 것을 뜻한다. 이 성장(G)은 자기조절력, 자기동기력, 대인관계력이라는 세 가지 마음근력으로 이루어진다. R은 대인관계력의 대표적인 구성 요소인 관계성(Relatedness)을, I는 자기동기력의 대표적 요소인 내재동기(Intrinsic motivation)를, 마지막 T는 자기조절력의 근간인 끈기(Tenacity)를 뜻한다.
목차
프롤로그. 그릿, 공부는 물론 무엇이든 다 잘 해내는 마음근력
1장. 공부에 대한 오해와 착각
공부에 대한 우리의 편견과 오해
공부에 대한 오해가 자녀의 공부를 방해하고 있다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공부를 잘한다는 것의 진짜 의미
첫 번째 오해, 지능과 성적은 유전된다?
아이가 공부를 못하는 건 부모의 머리가 나빠서인가?
네덜란드의 겨울 기근이 우리에게 알려준 것
스트레스도 유전될 수 있다
두 번째 오해, 지능은 평생 변하지 않는다?
능력성장믿음 VS. 능력불변믿음
일부러 공부하지 않는 아이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을 잘하는 이유
세 번째 오해, 일찍부터 선행학습을 시켜야 유리하다?
잘 노는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
학년이 오를수록 성적이 떨어지는 영재
2장. 그릿, 모든 성취의 원동력
무엇이 성공을 이끌어내는가
비인지능력의 비밀
노력하는 것도 능력이다
원래 잘하는 아이는 없다
자기소개서에서 가산점을 줘야 하는 항목
그릿, 성공적인 삶의 필요조건
‘무엇’을 가르칠까보다 ‘어떻게’ 가르칠까에 주목하라
공부를 잘하려면 그릿부터 키워라
3장. 자기조절력 : 나를 조절하고 다스리는 힘
나를 움직이는 힘, 자기조절력
장점은 보고자 마음먹어야 보인다
집념의 원천, 자기조절력
의지의 문제가 아니라 전전두피질의 문제다
즉각적인 만족인가, 지연된 보상인가
아이의 전전두피질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가
자기조절력, 어떻게 강화할 것인가
자기참조과정을 위한 훈련법
감정을 조절한다는 것의 의미
편도체를 안정시키는 방법
부모가 먼저 자기조절력을 키워야 하는 이유
4장. 대인관계력 : 건강한 인간관계를 구축하는 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가장 강력한 힘, 대인관계력
인간관계, 스트레스의 만병통치약
고3병에 안 걸리는 방법
아이를 대할 때 잊지 말아야 할 것들
소통능력을 이루는 두 개의 축, 사랑과 존중
감사일기, 대인관계력을 키우는 효과적인 훈련법
친구 많은 아이가 공부도 잘하는 이유
유전인가, 환경인가
모든 능력의 원천, 소통
5장. 자기동기력 : 열정을 갖고 스스로 해내는 힘
아이가 공부하지 않는 이유는 따로 있다
자율성, 자기동기력의 핵심
아들 셋을 모두 서울대 보낸 교육비법
한국 학생들이 중학교 때까지만 공부를 잘하는 이유
자율성으로 자기동기력을 키워라
동기부여와 ‘도파민’의 보상체계
미래가 불확실할수록 동기는 강해진다
자기동기력의 비밀, 현실과 미래의 격차를 줄여라
6장. ‘시험 잘 보는 능력’도 길러야 한다
시험에도 그릿은 필요하다
자기조절력으로 시험불안증 극복하기
시험불안증은 왜 생겨나는가
기억 인출을 방해하는 시험불안증
규칙적인 운동으로 자기조절력을 키워라
시험에 대한 관점을 바꿔라
시험에서 실수하지 않으려면
문제풀이 능력을 높이는 자기동기력
시험 보기 직전에 무슨 생각을 해야 하는가
긍정적 정서와 문제풀이 능력
시험도 결국 ‘소통’이다
시험과의 소통 훈련, 자가피드백
점수나 등수가 아닌 계획 자체를 목표로 삼아라
미주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