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유명 일간 신문인 아사히신문은 매년 연말이 다가오면 한 해 동안 사람들의 입에 가장 많이 오르내린 화제의 단어를 독자들의 투표를 통해 선정해 발표한다. 그런데 올해 아사히신문 독자들이 선정한 최고의 화제 단어는 다름 아닌 한국 배우 배용준의 일본 애칭인 ‘용사마’다. 배용준이 주연으로 출연한 우리 드라마 ‘겨울연가’가 일본에서 크게 히트한 덕분이다.
한국관광공사는 용사마 열풍이 220억원 정도의 국가 홍보 효과를 낳았다고 분석했다. 쉽게 말해 용사마 열풍으로 우리나라 전체가 220억원을 벌었다고 생각하면 된다는 것이다.
가수 보아는 데뷔 이후 일본에서만 600만장 이상의 앨범을 팔아 1500억원 이상의 경제적 부가가치를 만들어냈다. 보아의 앨범을 팔아 1500억원을 남겼다는 얘기다. 가수 보아가 소속된 연예기획사에서는 잠재적인 부가가치를 따지면 1조원 이상이 될 것이라고 주장할 정도다.
드라마, 음반뿐만이 아니다. 한국은행이 조사한 바로는 영화 한 편을 잘 만들면 중형 자동차 2만대를 생산한 것보다 수익이 좋다고 한다.
이렇듯 영화, 드라마, 음반 등이 만들어 내는 산업을 우리는 좁게는 연예 산업, 넓게는 문화산업이라고 부른다. 문화산업 이야기가 나오면 빠지지 않고 말할 수 있는 것이 한류 열풍이다. 한류 열풍을 일으킨 연예 스타 당사자들과 기획사들도 돈을 벌었겠지만 그로 인한 우리나라 관광산업도 재미를 보고 있다. 한류에 빠진 중국인, 동남아인, 일본인들이 한국을 방문하면서 우리 땅에서 쓴 돈만도 1조원에 가깝다고 한다.
그렇다면 문화산업 분야에는 어떤 직업이 있을까? 물론 연예인들이 주인공일 것이다. 그러나 그들 뒤에는 훨씬 많은 사람들이 일하고 있다. 우선 연예인들이 소속된 연예 기획사를 들 수 있다. 연예 기획사는 ‘끼’있는 미래의 스타를 발굴하고 스타로 키우는 모든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회사다. 가수 보아를 키워낸 SM 엔터테인먼트 같은 회사가 그런 곳이다. 이들은 소속 연예인들을 통해 올린 수입을 적정 비율로 연예인과 나눠 갖는다. 이들 기획사에는 많은 사람들이 일하고 있다.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기획자들이 있는가 하면 연예인들과 24시간 함께 이동하는 매니저들이 있다. 또 소속 연예인들을 언론에 홍보하는 홍보 전문가들도 있다. 한류 열풍이 불면서 해외 현지 방송국과 사업을 협의할 국제사업 전문가들도 늘고 있다고 한다.
연예인들이 활동하는 주무대인 방송국, 영화사, 음반회사에서 종사하는 사람들도 상당히 많다.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프로듀서, 영화를 만드는 감독과 촬영, 조명, 음향 전문가들, 한 곡의 노래를 만드는 데도 꽤 많은 녹음, 편곡 전문가들이 필요하다. 또 연예인들이 출연하는 각종 쇼나 콘서트를 개최하려면 이벤트 전문 회사의 기획자와 현장 연출자들이 나서야 한다.
● 이런 직업에 종사하려면
요즘은 대중문화의 영향력이 워낙 커지면서 초등학교 때부터 문화산업에 관심을 갖고 있는 어린이들이 많은 것 같다. 이런 직업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우선 창의성이 있어야 한다.
창의성은 새로운 생각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똑같은 사물을 보더라도 대부분의 사람들과 다르게 표현하고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어린이 친구들이 명심할 것은 연예인은 반드시 대학을 나올 필요가 없지만 문화산업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대학에서 전문 지식을 쌓아야 하고 국제 감각이 있어야 한다.